LH 국민임대주택 신청방법, 자격조건

LH 국민임대주택 국민임대아파트는 소득기준과 자산기준 등 몇가지 기준을 만족하면 청약하여 입주할 수 있는 시중 아파트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임대주택입니다. LH국민임대주택의 신청방법과 구체적인 자격요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이 글과 함께 많이 읽어본 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총정리(신혼부부,청년,신생아 등)

LH 국민임대주택이란

무주택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 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국가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가 건설공급하는 주택입니다.

국민임대주택은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간(30년) 임대가 가능한 임대주택이며, 분양전환 되지는 않습니다.

국민임대주택 신청방법

  1. LH청약+ 홈페이지에서 공고문 확인
  2. 희망하는 지역의 국민임대주택 공고 확인
  3. 희망하는 주택에 청약 신청
  4. 서류제출대상자 발표 및 서류 접수
  5. 소득/자산조사
  6. 당첨자 발표

간단히 위와 같은 절차로 국민임대주택을 신청할 수 있으며, 국민임대주택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청약통장이 필요합니다.

청약통장이란? 종류,가점,당첨,순위 총정리

국민임대주택 신청하기

  1. 위 버튼을 눌러 LH청약+의 모집공고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상단 조건 중 유형을 눌러 국민임대를 선택합니다.
  3. 지역을 눌러 원하는 지역을 선택합니다.
  4. 검색을 눌러 현재 공고 중인 국민임대주택 리스트를 확인합니다.

위의 순서대로 실시간 국민임대주택 모집공고 리스트를 살펴볼 수 있으며, 해당 공고문을 확인하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집공고문을 처음 열람한다면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아래의 굵직한 주요 내용들을 파악하면 공고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수월합니다.

참고) 청약홈, LH, SH, GH 청약방법 총정리

국민임대주택 자격조건

LH 국민임대주택의 자격요건은 아래의 공통적인 주요 조건들을 확인하면 되며, 각 지역별로 추가 조건이 붙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집공고문을 필히 함께 확인해야한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1. 무주택세대구성원

LH임대주택들은 기본적으로 무주택자여야 하는데요, 본인 뿐만 아니라 세대원 모두 무주택자여야 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 조건을 만족해야합니다.

  1. 신청자 본인
  2. 신청자의 배우자
  3. 동일세대 또는 분리세대에 따른 신청자와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 무주택세대구성원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직계존속 직계비속 뜻과 개념
👉 무주택확인서 조회 6가지 방법

2. 국민임대주택 소득기준

  • 전년도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가구원수70%80%90%
2인3,833,9024,381,6024,929,303
3인5,338,8816,101,5786,864,276
4인6,004,6626,862,4707,720,279
5인6,321,7347,224,8388,127,943
6인6,813,1607,786,4698,759,777
7인7,304,5878,348,0999,391,612
8인7,796,0138,909,73010,023,446

소득기준 가산

  • 가구원 수 가산항목 및 비율 : 1인 가구 20% 가산, 2인 가구 10% 가산
  • 출산자녀 수 가산항목 및 비율 : 출산자녀 2인 이상 20% 가산, 출산자녀 1인 10% 가산

모집공고에 따라 위와 같이 소득기준 가산 혜택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2인 가구를 예로 들면 10% 가산이기 때문에 소득기준 80% 이하면 자격조건에 부합하는 셈입니다.

✅ 나의 월평균 소득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국민임대주택 자산기준

  • 총자산 보유기준: 33,700만 원
  • 자동차 보유기준: 3,803만 원

총자산 보유 기준은 보유 부동산, 금융자산, 기타자산, 자동차 가액을 합산한 금액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이며, 자동차 보유기준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차량기준가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출산자녀 수 가산 항목 및 비율

  • 출산자녀 2인 이상 20% 가산, 출산자녀 1인 10% 가산

✅ 나의 자동차 차량가액 조회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임대주택 선정 절차

  1. 인터넷 또는 모바일 청약 신청
  2. 서류제출 대상자 발표
  3. 서류제출 대상자 서류 접수
  4. 입주자격 조사
  5. 입주자격 부적격사유 소명 요청
  6. 소명 접수 및 심사
  7. 예비입주 당첨자 발표

국민임대주택의 또 다른 혜택

국민임대주택은 보증금 및 월세가 시중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장점은 바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우대금리를 포함하면 약 1%대의 저렴한 금리가 가능하며, 국민임대주택처럼 소득 기준이 일정기준 이하여야 대출이 가능합니다.

또한 월세 보증금에 대한 대출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국민임대주택이나 행복주택 등에 입주할 때 많이 이용하는 주택도시기금의 자금입니다.

위 글에서 확인 가능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 신혼부부 전용 버팀목
  • 신생아 특례 버팀목
  • 월세대출 버팀목
  • 청년전용 버팀목
  •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 중소기업청년 보증금대출
  • HUG 전세보증보험

함께 보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