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산불 긴급 재난지원금 생활지원금 신청하기

2025년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여러 지역에서 대형 산불로 인해 많은 피해가 있었는데요, 먼저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산불 관련 긴급 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신청방법과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안동 산불재난지원금

✅ 전국 민생지원금 현황!!
👉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지역별 총정리

안동 산불 피해 긴급생활지원금

  • 지급대상: 안동시민
  • 지급기준일: 2025년 3월 28일
  • 지원금액: 1인당 30만원
  • 지급방법: 개인 계좌로 현금 계좌이체
  • 온라인 및 오프라인(방문) 모두 가능

지급기준일 현재 주민등록표상 안동시 거주자여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리인 신청 시에는 위임장 등의 제출이 필요하며, 대리 수령의 경우 동일 세대인 및 가족관계증명서 상 가족에 한합니다.

아래에서 온라인 및 방문신청 방법을 차례대로 알아보고, 신청 시 유의사항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안동 긴급생활지원금 신청하기

이번 안동시 긴급생활지원금은 현금 계좌이체로 지급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온라인에서 긴급재난지원금 신청하기

위 버튼을 누르면 안동시청 누리집 온라인 신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온라인 신청 절차

  1. 휴대폰 본인인증
  2. 개인정보 입력(주소지 읍면동 선택 필수)
  3. 본인 계좌번호 입력
  4. 통장 사본 첨부
  5.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 체크
  6. 신청

신청기간

  • 온라인: 4. 16. ~ 4. 30.
  • 오프라인: 4.14. ~ 4.30. 09:00 ~ 18:00 (토,일 제외)
  • 신청 기간 중 첫째 주는 5부제 방식 적용(출생년도 끝자리)
image

안동 산불지원금 방문 신청방법

방문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합니다.

내 주소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확인하시려면 아래에서 나의 관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검색 기능을 통해 행정복지센터를 검색하고 전화번호와 주소 등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시어 상담 전화 또는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검색하기

위 버튼을 눌러 이동하면 마이홈 포털 공식 홈페이지의 주거복지기관찾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본인에게 해당하는 지역과 동을 선택한 뒤 검색을 누르면 빠르게 해당 동에 위치하는 주민센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금리 1%대의 기금대출을 아시나요?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종류별 총정리
👉 보증금대출 7가지 신청방법(보증금줄이기)

산불 피해 긴급지원금 상세정보

구비서류

  • 본인인 경우
    • 신분증(본인), 통장 사본(본인)
    • 민법상 19세 미만 미성년자(2006. 3. 29. 이후 출생자)는 세대주에 지급
  • 대리인인 경우
    • 동일세대인 : 신분증(본인, 대리인), 위임장, 주민등록등본, 통장 사본(수령자)
    • 세대원이 아닌 가족 : 신분증(대상자, 대리인), 위임장, 가족관계증명서, 통장 사본(수령자)

신청방법

  • 온라인: 안동시청 누리집 신청(성인 본인에 한함)
  • 오프라인: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유의사항

복지급여 대상자

긴급생활지원금 지급대상자가 복지급여(생계급여, 기초연금, 장애인연금)을 본인명의의 계좌로 받고 있는 경우 별도 신청 없이도 기존에 등록된 계좌로 긴급생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단, 압류방지계좌를 사용 중이거나 복지급여 수급 계좌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 신청이 필요합니다.

산불재난지원금 FAQ

가족이 아닌 사람이 대리로 신청 시 대리 수령 가능한가요?

불가합니다.

세대원이 동거인의 지원금 신청 가능한가요?

신청 불가하며, 동거인이 직접 신청해야합니다.

지급기준일(25.3.28.) 이전 출생하였으나 출생신고가 지연된 경우

출생신고서와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급기준일(25.3.28.) 이후 사망자는 지급 대상인가요?

불가합니다. 지급기준일 이전에 사망하였으나 신고가 지연된 경우에도 불가합니다.

결혼이민자, 영주권자 등은 지급 대상인가요?

지급 대상입니다. 단,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해야합니다.

공공임대주택은 시중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게 입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입니다. 아래에서 다양한 임대주택의 개념을 살펴보고, 저렴한 주거 공간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 국민임대주택이란?
👉 행복주택이란?
👉 영구임대주택이란?
👉 신혼희망타운이란?
👉 LH 매입임대주택이란?
👉 5년 10년 50년 공공임대주택이란?
👉 LH 기존주택 전세임대 신청방법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